나의 넓고 얕은 취미

[독일어 A2] 화법조동사의 인칭변화 본문

독일어가 왜 이럴까

[독일어 A2] 화법조동사의 인칭변화

Seoyeon Nam 2021. 1. 11. 23:49

독일어 A2 시험, D-18

 

 

독일어에는 영어의 조동사와 같은 '화법 조동사'가 있다. 

독일어로는 Modalverben이라고 부른다. 

 

오늘 살펴볼 독일어 화법조동사는 6(+1) 가지가 있다. 간단한 예시와 함께 살펴보자. 

 

 

1. können : can

z.B. Ich kann Deutsch sprechen.

I can speak German

나는 독일어를 할 수 있다

 

2. sollen : should 

z.B. Ich soll Deutsch lernen, weil ich in Deutschland studiere.   

I should learn German because I want to study in Germany.

나는 독일어를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나는 독일에서 공부하고 싶기 때문이다. 

 

3. müssen : must / have to

z.B. Ich muss Deutsch lernen, weil ich morgen eine Prüfung habe.

I must learn German because I have an exam tomorrow.

나는 독일어를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내일 시험을 보기 때문이다. 

 

4. wollen : want to

z.B. Ich will Deutsch lernen, weil mein Freund Deutscher ist.

I want to learn German because my boyfriend is German. 

나는 독일어를 배우고 싶다. 왜냐하면 내 남자 친구가 독일인이기 때문이다. 

 

5.  dürfen : be allowed to

z.B. Ich darf in Deutschland leben.

I am allowed to live in Germany.

나는 독일에서 살아도 된다. (허용의 의미)

 

6. mögen : to like

z.B. Ich mag Deutschland.

I like Germany.

나는 독일을 좋아한다.

 

6+1. möchten : would like to

z.B. Ich möchte Deutsch lernen.

I would like to learn German.

나는 독일어를 배우고 싶다. 

 

TIPP! möchten은 mögen에서 파생된 한 형태이지만 별개의 화법조동사로 쓰인다. 

 

 

 

자, 이제 화법조동사의 인칭변화표를 살펴보자. 

 

  können sollen müssen wollen dürfen mögen möchten
ich kann soll muss will darf mag möchte
du kannst sollst musst wollst darfst magst möchtest
er/sie/es kann soll muss will darf mag möchte
wir können sollen müssen wollen dürfen mögen möchten
ihr könnt sollt müsst wollt dürft mögt möchtet
Sie/sie können sollen müssen wollen dürfen mögen möchten

 

화법조동사의 인칭 변화는 규칙적이며 예측 가능하다. 그래서 적은 시간으로 완벽한 숙지가 가능하다. 

 

wir와 Sie/sie의 경우 동사원형과 동일하다. 

ich와 er/sie/es의 경우 항상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du와 ihr의 경우에도 규칙 동사의 인칭 변화와 동일한 규칙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새롭게 암기할 필요가 없다. 

 

 

화법조동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조동사가 문장의 두 번째 자리에 위치하고 동사는 문장의 끝으로 간다는 것이다. 

 

z.B.  Ich tanze  -> Ich kann sehr gut tanzen

I can dance -> I can dance very well

 

예시를 보면 알 있듯이 본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문장의 끝에 위치한다. 

Comments